로그인 후 글작성이 가능합니다. You can write, edit and delete after logging in.
글번호 : 170637962
작성일 : 23.03.02 | 조회수 : 979
제목 : 러시아연구소, “세계 속의 러시아: 루소포비아와 냉전의 역사” HK+학술회의 개최 | 글쓴이 : 전략홍보팀 |
![]() |
|
우리대학 러시아연구소(소장 표상용) HK+사업단은 지난 2월 28일(화), HK+연구사업단은 학술회의를 개최하였다. 이번 학술회의는 HK+연구사업(어젠다: 러시아 인문공간의 재인식: 러시아 속의 세계, 세계 속의 러시아) 2단계의 1년 차 학술 활동으로, “세계 속의 러시아: 루소포비아와 냉전의 역사”라는 주제로 진행되었다. 1세션의 문을 연 김준석 HK연구교수는 ‘19세기에 바라본 러시아와 미국’이라는 주제로, 1807년 러시아와 미국이 외교관계를 수립한 이후 양국의 서로에 대한 인식과 그 배경이 됐던 역사적 사건들을 평가하였다. 뒤이어 라승도 HK연구교수는 ‘냉전의 그늘: 현대 프랑스 영화에 나타난 러시아 인식’이라는 제목으로, 소련 해체 직후부터 최근까지 제작된 9편의 프랑스 영화를 통해 러시아가 어떻게 그려지고 있는지 소개하면서, 전쟁, 시베리아, 러시아 마피아, 러시아 음악과 발레 등이 영화의 주요 주제로 사용됐으나 영화마다 다른 접근방식으로 그려졌다고 설명하였다. 2세션에서 김선래 HK연구교수는 ‘대러시아 제재와 한국의 에너지 수급전략’이라는 발표를 통해, 2014년 러시아의 크림 병합 이후 미국과 EU 주도로 시작된 대러시아 제재가 2022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강화된 가운데, 에너지 공급망 교란에 따른 한국의 에너지 수급 전략에 대해 분석하였다. 김혜진 HK연구교수는 ‘러시아 디아스포라와 루소포비아’라는 주제로, 러시아 디아스포라 형성의 역사와 더불어, 국제사회 내 러시아의 입지와 이미지가 재외러시아인 공동체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들에 대한 현지 사회의 반응은 어떻게 변해왔는지 발표하였다. 마지막으로 어건주 HK연구교수는 ‘소련 해체와 러시아어의 위상 변화’라는 발표문을 통해 포스트소비에트 국가들을 위주로 국가별 러시아어 지위를 유형화하고, 그 지위의 차이가 발생하는 여러 요인을 설명하였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한 지 어느덧 1년이 넘어가는 지금, 이번 학술회의는 국제사회, 세계정치와 경제, 그리고 예술 분야에서 러시아 인식과 이미지가 어떻게 변해왔는지 고찰할 수 있었다. |
서울캠퍼스02450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이문로 107 Tel. 82-2-2173-2114
글로벌캠퍼스17035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외대로 81 Tel. 031-330-4114
입학문의(학부)Tel. 02-2173-2500 e-mail. adms@hufs.ac.kr
Copyright ⓒ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All Rights Reserved.